1. 산술 연산자(Arithmetic Operator)
산술 연산자는 기존 데이터에 없었던 새로운 변수를 만들 때에 주로 사용한다. 산술 연산자의 우선순위는 괄호 -> 거듭제곱(^, **) -> 곱하기와 나누기(*, /) -> 더하기와 빼기(+, -) 이다. 동일한 우선순위를 가지는 산술 연산자가 나열되어 있다면 왼쪽이 오른쪽보다 우선순위를 먼저 갖게 된다.
3 + 4 | 더하기 |
3 - 4 | 빼기 |
3 * 4 | 곱하기 |
3 / 4 | 나누기 |
3 ** 4 | 거듭제곱 |
3 ^ 4 | 거듭제곱 |
13 %/% 4 | 몫 |
13 %% 4 | 나머지 |
2. 할당 연산자(Allocation Operator)
할당 연산자는 어떤 객체의 이름(변수, 데이터, 함수)에 특정한 값이나 분석된 결과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 <-, -> 은 일반적인 저장 기능을 담당하고, = 은 함수 안에 있는 argument를 저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.
3. 비교 연산자(Relational Operator)
비교 연산자는 두 개 값에 대한 비교로서 맞으면 TRUE, 맞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한다. 이는 데이터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때 주로 사용된다.
3 > 4 | 크다 |
3 >= 4 | 크거나 작다 |
3 < 4 | 작다 |
3 <= 4 | 작거나 같다 |
3 == 4 | 같다 |
3 != 4 | 같지 않다 |
! (3 == 4) | !는 아니다의 의미 |
4. 논리 연산자(Logical Operator)
논리 연산자는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비교한다. & 는 모든 조건이 참일 때만 TRUE가 되며, | 는 조건 중 하나라도 참이면 TRUE가 된다.
& | and :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ok! |
| | or :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해도 ok! |
'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 데이터 생성방법(Factor, DataFrame) / Data in R #5 (1) | 2023.12.21 |
---|---|
R 데이터의 유형 (type of data in R) #R4 (1) | 2023.12.07 |
맥북 R / R studio 다운로드 방법 #R1 (0) | 2023.11.29 |